반응형
- 데이터 분석의 세계에서
클러스터링
은 꽤 중요한 개념이다. - 클러스터링은 사실상 데이터의 자연스러운 그룹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의 한 종류다.
그럼 이제 클러스터링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클러스터링이란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그 안에서 패턴을 찾거나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럴 때 클러스터링이 큰 도움이 된다.
클러스터링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데이터들을 같은 그룹으로 묶는 것이다.
이 그룹들을
'클러스터'
라고 부른다.클러스터링
은 이런 방식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그룹으로 분할한다.클러스터링의 핵심 아이디어는 클러스터 내의 데이터 포인트들은 서로 유사하고
다른 클러스터의 데이터 포인트와는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그럼 '유사성'은 어떻게 정의할까? 이는 문제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거리 기반의 클러스터링에서는 유사성이 두 데이터 포인트 간의 거리로 측정될 수 있다.
클러스터링 활용분야
클러스터링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예를 들어, 마케팅에서는 고객 분류, 이미지 처리에서는 이미지 세분화, 텍스트 분석에서는 문서 분류 등에 클러스터링이 활용된다.
클러스터링 알로리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 대표적인 것으로는 K-means, DBSCAN, 계층적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 등이 있다.
- 이들 알고리즘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 예를 들어, K-means는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 수(K)에 대해 각 데이터 포인트를 가장 가까운 클러스터 중심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클러스터링 활용도
- 클러스터링은 그 자체로도 유용하지만, 다른 머신러닝 작업의 전처리 단계로도 자주 사용된다.
- 예를 들어, 클러스터링을 통해 생성된 클러스터를 새로운 피처로 사용하여
- 지도 학습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의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클러스터링은 데이터 분석의 중요한 도구로, 복잡한 데이터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데이터의 복잡성을 줄이고, 숨겨진 패턴을 발견하며, 데이터를 더 유용하게 만들 수 있는 강력한 기술이다.
반응형